Loading. Please wait.

loading...

우울증 있으면 통증 더 아프게 느껴

우울증 06/16/2017 조회수: 306

우울증 환자는 통증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통증 완화를 위한 뇌 회로의 작동 속도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C샌디에이고 연구팀은 우울증 진단을 받았지만 치료약을 복용하지 않고 있는 15명과 정상인 15명을 대상으로 통증 자극을 주면서 뇌의 움직임을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했다. 실험 대상은 모두 20대 남성이었으며 이들에게는 "이제 8초 뒤에 뜨거운 물체가 당신의 팔에 닿을 것입니다"라는 예고와 함께 뜨겁게 느껴지지만 화상을 입히지 않는 물체가 팔에 대어졌다.

통증이 예고된 상태에서의 뇌 활성화 정도를 촬영한 결과 우울증 환자의 뇌에선 감정적 반응과 관련되는 부위가 정상인보다 훨씬 과다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즉 아플 준비를 훨씬 더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똑같은 통증이 주어져도 훨씬 아프게 느낀다는 결론이다. 또한 통증 완화에 관계되는 뇌 회로부분에 대한 촬영 결과 우울증 환자에선 이 부분의 반응 속도가 정상인보다 느렸다.

통증이 있은 뒤 이러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정상인의 뇌는 신속히 작동하는 반면 우울증 환자의 뇌는 작동 속도가 떨어짐에 따라 더 오래 통증을 느끼고 통증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경향이 높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예고된 통증 자극에 대해 우울증 환자의 뇌는 과다각성 상태에 빠지면서 통증을 강하게 그리고 오래 느낄 수 있다"며 "이런 상태가 반복되면서 통증과 우울증이 함께 나타나는 증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0/200
DISCLAIMERS: 중앙일보는 이 광고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광고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개인의 모든 손실과 손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이 광고를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신 미국생활이야기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